<출판저널> 통권 538호
<출판저널> 통권 538호(2023년 11+12월호) | 책문화네트워크(주)
176쪽 | 값 28,000원 | ISSN 1227-1802 | 140*210
보도자료 문의 | prnkorea1@naver.com
사회적기업 책문화네트워크가 <출판저널> 통권 538호를 발행했다. <출판저널>은 1987년 7월 20일에 창간된 출판전문지로서 올해 창간 36주년을 맞이했다.
<출판저널> 통권 538호 특집 ‘책문화생태계 토크 39회’는 ‘제3차 정기간행물진흥 5개년계획의 실효성 있는 추진과 잡지구독비 소득공제 도입 필요성’이라는 주제로 잡진진흥을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지난 9월 19일(화)에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사)한국잡지협회와 임종성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실과 공동 주최한 매거진정책라운드테이블 잡지산업생태계 발전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정윤희 책문화네트워크 대표가 발제한 내용을 정리했다.
정윤희 대표는 “정기간행물진흥법과 제3차 정기간행물진흥 5개년계획이 있지만, 이를 추진할 수 있는 정부 예산이 극도로 빈약하고 그나마 있는 예산마저도 삭감되는 현실이다.
출판, 신문, 방송 등 타 미디어정책과 비교했을 때 너무나 크게 소외받고 있으며, 잡지산업 현장은 그야말로 각자도생해야 하는 실정이다.
잡지산업생태계가 선순환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측면에서 잡지 콘텐츠 생산(저술), 유통(플랫폼), 소비(독서), OSMU, 해외 수출 등 선순환 체계를 가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고 정부의 정책과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정윤희 대표는 “도서구입비, 신문구독료, 공연입장료, 미술관입장료, 영화관람비까지 문화소득공제 대상인데 잡지구독비가 아직까지 소득공제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다.
2017년 8월에 도서 및 공연비 소득공제 시행, 2019년 12월 신문구독료 소득공제 시행, 2023년 7월 영화구입비 소득공제가 시행되었다.
지난 2021년 1월 29일 정기간행물 구독료 소득공제 추진 법안(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도종환 국회의원이 발의했으나 아직까지 법이 국회에 계류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올해 3월 고용노동부로부터 사회적기업으로 인증을 받은 책문화네트워크는 2017년 9월호인 통권 500호부터 책문화생태계 담론을 꾸준히 확산해 오고 있으며, 2023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콘텐츠 잡지로 선정되었다.
[특집]
*책문화생태계 토크 39회
- 제3차 정기간행물진흥5개년계획의 실효성 있는 추진과 잡지구독비 소득공제의 필요성
[칼럼]
*문화민주주의와 책문화생태계 9회
- 지속가능한 책문화생태계를 위한 국가와 지자체의 관심이 필요하다 / 정윤희
*김기태의 초판본 이야기 22회
- 대학생 때 이미 “시인으로서의 충분한 조건과 기초와 역량을 갖춘” 마종기 시인의 첫 시집 /김기태
[책문화뉴스]
*알라딘 전자책 유출 사건에 대한 대한출판문화협회의 경과 보고
*제6회 샤롯데출판문화대상 수상자 발표
*책문화생태학자 정윤희 박사, 제29회 한국출판평론상 수상
*한국도서관협회, 제60회 전국도서관대회·전시회 개막
[독서경영 vol.43]
*북큐레이터 김민주의 테마별 책읽기 22회
청와대라는 공간 / 김민주
[신간목록]
*신간도서 200자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