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잡지 인물 사상 : 개화기부터 현대까지 한국의 잡지문화사
부길만 지음|224쪽|값 25,000원|152mm * 225mm|PARK&JEONG
ISBN 979-11-92663-19-7 (94080)|발행일 2024년 11월 1일
도서 문의 : PARK & JEONG 편집부|이메일 : prnkorea1@naver.com
- 책문화학술 시리즈 5권,
《잡지 인물 사상 : 개화기부터 현대까지 한국의 잡지문화사》
책문화네트워크의 출판브랜드 PARK & JEONG에서 책문화학술 시리즈 5권으로 《잡지 인물 사상 : 개화기부터 현대까지 한국의 잡지문화사》를 출간했다.
《잡지 인물 사상 : 개화기부터 현대까지 한국의 잡지문화사》는 개화기부터 현대까지 한국 잡지 문화사의 변천과 그 속에서 활동한 잡지 언론인들의 역할을 조명했다.
이 책은 한국 잡지의 출판과 문화적 기여를 연대기적으로 정리하고, 잡지 언론인들이 사회와 문화의 변화를 주도하며 국민 계몽, 독립 정신 고취, 문화의식 향상에 기여한 과정을 탐구하고 있다.
부길만 저자는 한국 잡지 출판의 시작과 발전 과정을 시기별로 구분하고, 각 시대의 대표적인 잡지와 잡지 언론인들의 철학과 사상을 분석한다. 최남선, 장준하, 방정환 등 주요 인물들이 활동한 시대적 맥락과 이들이 한국 근현대사에서 차지하는 중요한 위치를 설명하며, 이들이 국민의식에 미친 영향을 다각도로 조명한다.
특히 일제강점기의 독립정신 고취 활동과 해방 이후 민주화와 사회 개혁의 선구적인 역할을 다룬 부분은 독립운동사와 출판문화사의 관점에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각 잡지의 창간 배경과 편집 방향을 통해 사회적 격변 속에서 잡지 언론이 수행한 소통과 교육, 계몽의 역할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저자 부길만은 한국 근현대 잡지 출판사와 사상 연구에 오랜 기간 집중해온 연구자로, 잡지 언론인과 출판계의 역할을 시대적 맥락에서 분석하는 데 깊이 있는 연구 성과를 축적해왔다. 특히 한국 출판문화와 잡지 언론인의 사회적 책임 및 기여를 다룬 연구로 학계에 공헌하고 있으며, 이번 저서를 통해 한국 잡지 출판의 역사적 가치와 사상을 폭넓게 조망한다.
《잡지 인물 사상 : 개화기부터 현대까지 한국의 잡지문화사》는 한국 잡지 언론인의 사상과 잡지의 시대적 역할을 역사적 맥락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한국 언론 및 출판 문화의 발전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와 통찰을 제공한다.
잡지 출판의 역사와 인물들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텍스트로서, 학계뿐만 아니라 한국 근현대사와 출판 문화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전달할 것이다.
- 목차
책머리에 : 한국 잡지 문화의 역할과 의미
제1장 한국 잡지출판의 전개과정
Ⅰ. 머리말
Ⅱ. 잡지출판의 특성
Ⅲ. 한국 잡지출판 역사의 시대구분
Ⅳ. 한국 잡지출판의 전개과정
Ⅴ. 한국 잡지출판의 역사적 의의
제2장 잡지언론인 최남선과 장준하
Ⅰ. 머리말
Ⅱ. 잡지언론인 최남선
Ⅲ. 잡지언론인 장준하
Ⅳ. 맺음말: 최남선과 장준하의 비교
제3장 잡지언론인 파인 김동환 연구
Ⅰ. 머리말
Ⅱ. 김동환의 생애
Ⅲ. 김동환의 잡지관
Ⅳ. 주요 활동과 잡지들의 특성
제4장 <대한매일신보>의 잡지관
Ⅰ. 머리말
Ⅱ. <대한매일신보>의 개요
Ⅲ. <대한매일신보>의 잡지관
Ⅳ. 맺음말
제5장 잡지로 보는 일제강점기
Ⅰ. 머리말
Ⅱ. 일제강점기의 관점과 시기 구분
Ⅲ. 잡지 출판으로 보는 일제강점기
Ⅳ. 일제강점기의 주요 잡지 출판인들
Ⅴ. 맺음말: 현대적 의의
제6장 <출판저널>의 출판문화사적 의의와 과제
Ⅰ. 두 차례의 위기와 극복
Ⅱ. 사명감과 문화의식의 차이
Ⅲ. 민주화와 출판계 역량 강화
Ⅳ. 선구적 성과와 향후 과제
부록 및 참고자료
- 저자 부길만
현재 출판역사연구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 독어과를 졸업하고 영국 셀리오크대학을 거쳐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에서 출판잡지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마치고 한양대 대학원 신문방송학과에서 언론사(言論史)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동원대학교 광고편집과 교수로 정년퇴임했으며, 경희대 신문방송대학원, 동국대ㆍ한양대 언론정보대학원, 서강대 언론대학원 강사를 역임했다. 그리고 문화재위원회 위원, 문화체육관광부 출판정책 자문위원, (사)한국출판학회 회장, (사)어린이도서연구회 이사장 등으로 활동한 바 있다.
저서로는 <조선시대 방각본 출판 연구>(2004년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책의 역사>(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지역사회와 민주주의를 말하다>, <지역사회의 책문화 살리기>, <우리 책과 한국사 이야기>(2020년 북토큰 선정도서), <우리 책과 한국현대사 이야기>(2022년 세종도서교양부문 선정도서), <해공 신익희와 민주공화국> 외 다수가 있다.
- 도서구입 문의
- PARK & JEONG 편집부
- 이메일 : prnkorea1@naver.com
- PARK & JEONG은 사회적기업 책문화네트워크의 단행본 출판브랜드입니다.